날씨가 더워도 너무 덥고 습해 일반사람들은 벗으려고 하는데요
노인분들은 벗으라고 해도 오히려 더 입으시고 땀을 흘리시곤
합니다.
치매의 일종으로 인지를 못하시는 거 같은데요. 예전의 날씨와도
너무 다른 현상으로 점점 더 열파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는데
이런 걸 기후위기라고 합니다
기후위기 개념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빙이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바다 수위 상승으로
해안도시들이 위험하고 호우와 가뭄의 잦은 발생으로 농작물이나 가축
들이 위험하고 산업활동 등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증가하며 이런
기후변화로 가뭄이나 기상조건 변화등으로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이로 인해 생태계파괴 및 공기오염등 특정 지역에서
경험하는 극심한 열 조건에 기여하는 몇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능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상 기후 현상의 예시들
※기후변화: 기후변화는 폭염을 심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온실 가스 배출의 증가, 주로 이산화탄소는 지구 대기에 더
많은 열을 가두어 전 세계적으로 온도 상승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전반적인 온난화 경향은 더 빈번하고 강렬한 폭염
현상에 기여합니다.
※도시 열섬 효과: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건물이 있는 도시 지역은
시골 지역에 비해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보유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도시 열섬 효과라고 합니다. 도시가 확장되고
인구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한
열은 지역 온도를 상승시켜 열 관련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상 패턴 및 대기 조건: 특정 기상 패턴 및 대기 조건은 폭염의
심각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고압 시스템과 정체된 기단은
한 지역에 뜨거운 공기를 가두어 장시간 동안 강렬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구름이 적고 바람이 약하면 열 축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연 기후 변동성: 엘니뇨 및 라니냐 현상과 같은 자연 기후 변동성은
전 세계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온도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해양 및 대기 조건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폭염 발생을
비롯한 기상 패턴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후위기 심각성
개별 기상 현상이 기후 변화에 직접적으로 기인할 수는 없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는 극심한 더위 현상의 가능성과 심각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사건은 인간의 건강, 인프라, 농업 및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구현하는 것은 폭염과 관련된 위험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반면에 기후위기 해결사례로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데
성공한 사례도 있다고 하는데요 풍력발전 및 태양광 발전에 큰 투자를
해 전체 전력 소비의 대부분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강력한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는 데 성공한 코스타리카가 있는데요
녹색경제개발을 위한 정책과 산림 보호와 재생 가능한 농업을 촉진하고
생태계 보전을 강화하는 등 2014년부터 300일 이상의 기간 동안 전기를
재생에너지로만 공급한 세계 최초의 나라라고 합니다.
결론
우리나라는 에너지 혁명이 해결 방법일 텐데요. 흐르는 물을 이용한 전력
생산같이 친환경적인 재생에너지를 이용, 상용화하여 지구온난화, 기후
위기, 에너지, 미세먼지들을 해결하여야 할 것입니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에 관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https://www.2050cnc.go.kr/base/main/view
2050 탄소중립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한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
www.2050cnc.go.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년 장기복무 제대군인 수업료보조 대상, 신청방법 (1) | 2023.08.13 |
---|---|
419탑 백련사 입구에서 물놀이의 시원함과 감사함 (2) | 2023.08.05 |
2023년 예술분야 창업기업 지원 [추가] 공고문 (2) | 2023.07.26 |
갈바닉 마사지기 작동 방식과 이점 (2) | 2023.07.17 |
2023 대체공휴일 없는 추석 가고 싶은 해외여행은? (0) | 2023.07.14 |
댓글